'됬'116 [공공 데이터 파싱 프로그램 만들기] 공공데이터포털 등록과정 우선 공공 데이터 센터를 들어가서 코로나를 검색한다. 혹시 아이디가 없거나 잊어버린 상태라면 미리 회원가입 또는 비밀번호를 찾아서 로그인을 해두는 것이 좋다. https://www.data.go.kr/index.do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 오픈API를 찾는다. 보건복지부가 관리하는 코로나 감염현황을 클릭해서 활용신청한다. 오른쪽 상단에 마이페이지를 클릭하면 자신이 신청한 API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신청한 API는 승인되기까지 대기시간이 있으므로 바로 활용할 수 없다. 마이페이지를 확인해보면 활용신청한 API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게 딱히 승인되었다는 알림이 오는것도 아니라, 그냥 신청 후 몇 시간정도 게임하고 오면 된다. 시간이 어느정도 지났다면 API를 하나 선택해서 정보를 확인해본다. 일반 인증키.. 2022. 1. 2. [공공 데이터 파싱 프로그램 만들기] 소개 기관에서 일한지 2개월 남짓 지나고 일이 어느정도 익숙해졌을때 주사님이 내게 개인적으로 공공 데이터 센터에서 코로나 감염현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코드를 짤 수 있겠냐고 부탁해오셨다. 사실 아주 간단한 작업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편의를 봐주신것도 있고, 예전에 짜둔 코드들을 보고 짜집기하면 금방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흔쾌히 만들어드리겠다고 했다. 사실 프로그램 제작까지 말씀하신건 아닐테지만 어차피 하는김에 사용하기 쉽도록 exe파일까지 만들어드리기로 했다. 필요한 것 1) python IDE python idle도 좋고 anaconda jupyter notebook도 좋고 pycharm도 좋다. jupyter notebook으로 동작을 확인한 뒤, .py파일로 정리한 코드를 exe 프로그램.. 2022. 1. 2. [인턴] 2021년 공공 빅데이터 청년 인턴십 후기 4 - 전문교육 ※ 참고 글 작성 시점에 이미 기관 배치받아서 인턴십 수행중이며, 나중에 쓸 일이 있을까 하여 간간히 기록해둔걸 공유하는 차원에서 작성하는 글이다. 따라서 최대한 자세하게 작성하려고 노력하겠으나 애매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번에는 내가 약 2개월간 전공교육을 받으면서 느꼈던 문제점을 몇 가지 적어보려고 한다. 이전 글에서 작성했듯 사전교육은 전공자라면 굳이 시간을 내서 들어봤자 복습하는 것 이상의 효과가 없는 시간 때우기나 마찬가지였다. 그렇다면 전문교육은 조금 다른가? 글쎄, 사전교육을 마치고 전문교육을 받는다. 말만 들으면 누구나 전문가가 될 수 있을 것 같지만 애초에 전공자가 몇 년에 걸쳐 배우는 교육을 누구나 반년도 채 안 되는 교육으로 따라잡을 수 있다면 그 누가 대학을 가서 시간을 바칠까?.. 2021. 12. 30. [인턴] 2021년 공공 빅데이터 청년 인턴십 후기 3 - 사전교육 ※ 참고 글 작성 시점에 이미 기관 배치받아서 인턴십 수행중이며, 나중에 쓸 일이 있을까 하여 간간히 기록해둔걸 공유하는 차원에서 작성하는 글이다. 따라서 최대한 자세하게 작성하려고 노력하겠으나 애매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면접까지 합격하고 기세 등등하게 1년 더 휴학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아무리 그래도 2년 연속 휴학을 하게 될 줄은 몰랐는데. 사실 이렇게 손 놓고 쉬어도 괜찮은 건지 모르겠다. 며칠 뒤 사전교육 안내가 공지되었다. 약 한 달간 진행되는 사전교육은 기초교육과 심화교육으로 나뉘어있고, 기초교육에 필수 이수 과목 3개와 심화교육에 필수 이수과목 1개를 이수해야 한다. 리스트 보면 알겠지만 필수 이수 과목만 수강 시 약 60시간인데, 비전공자가 강의를 보고 실습까지 하기에는 짧지 않은 시간.. 2021. 12. 27. 이전 1 ··· 24 25 26 27 28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