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됬'116

[TCP/IP 개인 공부] 1.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1.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2. IPv4 주소 3. IP 주소의 구분 4. 서브넷 마스크 5. 게이트웨이 Q. 우리가 인터넷 공간에서 원하는 웹사이트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을까? Q. 반대로 그 웹사이트에서는 어떻게 내 PC로 정보를 전송하는걸까? 이러한 궁금증은 명령프롬프트(cmd)에서 해결할 수 있다. 명령프롬프트를 실행시켜서 ipconfig를 입력하면 출력되는 내용을 한 줄씩 확인해보자. ①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 먼저 "이더넷 어댑터"란 PC에서 사용하는 LAN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더넷"은 LAN 영역에서 사용하는 통신기술 중 하나로 LAN 영역의 표준 방식이다. 정리할것도 없지만 "이더넷은 LAN 영역에서 사용하는 통신기술.. 2023. 7. 26.
[TCP/IP 개인 공부] 시작! 스프링으로 토이 프로젝트를 만들다가 어딘가 계속 답답함을 느꼈던 점이 있다. 서버 사이드에서 로직을 작성하는 부분은 물론 어렵긴 하다. 하지만 구글과 지피티 선생님에게 물어보면 어떤식으로든 해결은 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런데 서버를 세팅하는 과정에서 도메인을 연결하고 방화벽과 포트포워딩 설정을 하는 등 분명 전공시간에 배웠던(것 같은) 일련의 과정과 용어들이 스스슥 스쳐가는데 아예 이해가 안 되는거;; 어떤식으로 키워드를 검색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설령 찾았다해도 그것의 설명을 봐도 모르겠고... 그래서 이번 기회에 기본이라도 좀 다시 공부를 해야겠다 싶어서 정리해본다. 글의 내용은 대부분 "해킹 입문자를 위한 TCP/IP 이론과 보안 2/e" 라는 책을 참고했다! 근데 이미 작성해야 할 글들이 밀려있는.. 2023. 7. 26.
[Spring boot] IoC(Inversion of Control) 개인공부 1. 용어 설명 2. 테스트 코드 작성 3. 왜 스프링에서는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할까? 사실 나는 지금도 구체적으로 이해한 건 아니지만... 추상적으로나마 이해한 내용을 기록으로 적어둔다. 테스트 코드를 보면서 객체 생성(new)과 참조(주입)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자. Inversion of Control(IoC)와 Dependency Injection(DI). 이제 스프링 공부를 시작한... 또는 공부하고 있거나... 이미 공부했던 사람이라면 필연적으로 들어봤을 개념이다. 두 개념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이 정도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Dependency Injection(DI)는 IoC의 구현 방법 중 하나입니다. DI는 객체 간의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2023. 7. 2.
[2023년 하반기의 다짐] 이라고 쓰고 푸념이라고 읽는다 토이 프로젝트는 할 만큼 했다. 사실 이 이상 토이프로젝트를 몇 개씩 더 해본들 기술 스택이 쑥쑥 늘어날 것 같지 않아. 파이썬이야 어느 정도 익숙했었고 코드도 어느 정도 작성할 수 있다. 덕분에 데이터 분석 분야까지 찍먹해볼 수 있었다. (물론 다 까먹었지만) 반대로 스프링은 아예 손대본적도 없었고 서버 사이드 클라이언트 사이드에 대한 개념도 없었으니 당연히 뭘 하던간에 지식이 채워지는 느낌이 들 수 밖에 없었고 나름 재미있었다. 다만 이제 파이썬도 그렇고 스프링도 그렇고 딜레마에 빠졌다. 먼저 파이썬은 1년 내내 사용하지 못했다. 당연히 데이터 분석 자격증까지 취득해놓고 관련 지식은 싸그리 까먹어버렸단 말이지. 물론 어느 정도 몸이 기억한다곤 해도 이걸로 공부해서 취업하기엔 좀 빡세지... 파이썬을 .. 2023.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