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 전, 나는 기관 담당자의 부탁으로 kakao map api를 사용하는 법을 공부했었다. 그런데 kakao map이 아니라 naver map으로 만들어주라는 말에 할까말까 하고 있었는데 왜 여기까지 만들게 되어버렸는지 모르겠다.
사실 javascript는 한번도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이번 기회에 간단한 기능만 구현해보자는 생각이었다. 어떤식으로 돌아가는건지 지금도 잘 모르겠지만 node.js에 리액트를 연동해서 구현한다거나 그런게 아니라 그냥 단순히 html, javascript, css로만 작성해서 어떤식으로 보여질지 모르겠다. 프로그램을 최대한 작동하는것에 초점을 두고 구현하는거라 이렇게 하는게 효율적인지도 모르겠다. 물론 맞으면 다행이지만 아닐 가능성이 높아서 참고정도로만 읽어주면 된다. 최대한 초보자가 처음 따라해도 실행이 될 수 있도록 자세히 작성하려고 노력하겠다.
필요한 것
1) 네이버 개발자 라이센스 및 플랫폼 등록
네이버 지도 api를 불러오기 위해 당연히 필요하다.
2) visual studio code
IDE는 뭘 사용해도 상관없는데 자신이 원하는 환경에서 작성하면 된다.
3) Apache 2.4
로컬에서 테스트를 할 것이기 때문에 간단히 아파치 서버를 이용할 것이다.
다음 글에서는 이들을 어떻게 설치하고 실행시킬지 차근차근 다뤄볼 것이고, 전에 작성했던 카카오 지도와 겹치는 내용이므로 참고하면 된다.
'공부 > naver map a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ver map api] 버튼 이벤트, 모달창 생성 (0) | 2022.01.27 |
---|---|
[naver map api] 리모콘 생성(버튼, 텍스트박스, 이미지 올리기) (0) | 2022.01.27 |
[naver map api] naver map 위에 레이어 그리고 마우스 리스너 설정하기 (0) | 2022.01.26 |
[naver map api] naver map 그리기 (0) | 2022.01.26 |
[naver map api] naver cloud platform 등록과정 정리 (0) | 2022.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