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공공 데이터 센터를 들어가서 코로나를 검색한다. 혹시 아이디가 없거나 잊어버린 상태라면 미리 회원가입 또는 비밀번호를 찾아서 로그인을 해두는 것이 좋다.
https://www.data.go.kr/index.do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 오픈API를 찾는다. 보건복지부가 관리하는 코로나 감염현황을 클릭해서 활용신청한다. 오른쪽 상단에 마이페이지를 클릭하면 자신이 신청한 API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신청한 API는 승인되기까지 대기시간이 있으므로 바로 활용할 수 없다.
마이페이지를 확인해보면 활용신청한 API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게 딱히 승인되었다는 알림이 오는것도 아니라, 그냥 신청 후 몇 시간정도 게임하고 오면 된다.
시간이 어느정도 지났다면 API를 하나 선택해서 정보를 확인해본다. 일반 인증키는 2가지가 있는데, 위에 설명을 읽어보면 Encoding과 Decoding 두 가지 중에 하나가 구동되는 키라고 한다. 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결론부터 말하면 이 API를 사용하려면 Decoding키를 사용해야 한다.
여기까지 공공 데이터 API 활용신청이 끝났다. 다음 글에서는 python으로 프로그램 작성하는 법에 대해 작성하려고 한다.
'공부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esseract를 사용한 메이플스토리 길드 스코어 분석]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0) | 2022.03.27 |
---|---|
[Pytesseract를 사용한 메이플스토리 길드 스코어 분석] 프로그램 소개 (0) | 2022.03.24 |
[공공 데이터 파싱 프로그램 만들기] pyinstaller로 .exe파일 생성 (0) | 2022.01.08 |
[공공 데이터 파싱 프로그램 만들기] 프로그램 UI 제작, api 데이터 엑셀 파일로 저장 (0) | 2022.01.02 |
[공공 데이터 파싱 프로그램 만들기] 소개 (0) | 2022.01.02 |
댓글